국토부, 9월 사업 기본계획 발표 취소
10개 지자체별 정차역 요구 검토 진행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C노선도 <사진=연합>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C노선도 <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박은영 기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C노선이 지자체들의 정차역 추가 요청 및 사업방식 변경 등에 따라 예정됐던 2026년 개통은 어려울 전망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경기도 의왕시·안양시·동두천시·화성시·평택시, 서울 성동구 등 수도권 10여개 지자체가 GTX C노선 신설역 추가를 국토교통부에 공식 요청했다.

지난 2018년 10월 GTX-C노선 예비타당성 검토를 통과한 정차역은 서울 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역, 삼성역, 양재역과 경기도 양주역, 덕정역, 의정부역, 과천역, 금정역, 수원역 등 10곳이다.

정차역 신설을 추가 요청한 지자체들은 저마다의 이유로 기존 정차역 외 신설역 설치가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11일 의왕시는 자체 진행한 예비타당성 조사결과를 공개했으며, 안양시는 지하철 4호선 인덕원역에 GTX-C노선 유치 시 경기 남부 최대 교통 요충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 성동구 역시 왕십리역 추가 정차 연구용역 중간보고를 9월 중 국토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왕십리역 정차역 신설은 기존에도 서울시가 국토부에 검토를 공식 요청한 바 있다.

당초 국토부는 GTX C노선 기본계획을 내달 9월 발표하고 11월 사업시행자 모집 공고에 나설 예정이었으나, 지자체들의 정차역 신설 요구가 이어지며 이를 전면 취소했다. 지자체별 신설역 타당성 검토에 시간이 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토부는 최근 GTX-C노선 사업방식도 BTO-rs(위험분담형 민자사업)에서 BTO(수익형 민자사업)로 변경했다. BTO-rs 방식은 시설 투자비와 운용비를 일정 비율로 나누는 민간투자 사업 방식이며, BTO는 기반시설을 민간기업 자금으로 건설하고 소유권을 정부로 이전하되 일정기간 사용료 징수 등 운영권을 갖고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이다.

정차역 추가 검토에 사업방식 변경까지 이어지며 예정된 착공 기일을 맞추긴 힘들 것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각 지자체별 예비타당성 검사 용역 발주와 이를 국토부가 검토하는 과정까지 고려하면 착공까지 걸리는 시간이 늘 수밖에 없다”며 “노선 길이와 정차역 수가 늘면 공기와 사업비가 증가하고 개통 후 이동시간도 증가할 것”이라 덧붙였다.

BTO 방식으로 사업이 추진, 민간 기업이 수익성에 따른 정차역 지정에 시간이 더 소요되고 투자비 회수를 위한 요금 결정권을 갖기 때문에 이용요금이 높게 책정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민간기업은 수익성을 따져 정차역을 지정하고, 요금을 책정하기 때문에 정부가 책정하는 수준보다 이용요금이 오를 가능성이 크다”며 “현재는 사업에 잡음이 많고 일정이 지연 될수록 민간기업 부담도 크기 때문에 적극적인 참여를 이끄는 것 또한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GTX C노선은 경기 북부 양주 덕정역에서 서울을 관통, 경기 남부 수원역까지 잇는 총 74.8km 구간 노선 사업으로 2021년 4월 사업시행자 선정, 2026년 개통을 목표하고 있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