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경기 악화 영향

<자료=연합>
<자료=연합>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전국 전·월세 가격이 14년 만에 하락했다. 경기 부진 및 매매 수요 증가 의견이 나오는 가운데, 부동산 경기 자체가 침체기에 들어섰다는 의견 또한 적지 않다.

28일 통계청 품목 성질별 소비자물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집세 지수는 104.04(2015년=100)를 기록했다. 전년보다 0.1% 하락으로 전국 집세 지수가 하락세로 전환한 것은 2005년(-0.2%)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집세 하락은 월세가 주도했다. 월세는 2018년과 2019년 연속으로 0.3%, 0.4%씩 떨어지며 집세 하락세를 이끌었다. 지난해 월세 지수는 99.81(2015년=100)로, 2014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전세 또한 0.2% 상승했으나 상승 폭 자체는 2005년(0.1%) 이후 최저에 해당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서울 집세가 0.3% 상승했지만, 상승 폭은 2006년(0.3%) 이후 가장 작았다. 서울 전셋값 역시 2006년(0.6%)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인 0.8% 상승했고, 월세는 0.3% 떨어졌다. 월세가 2년 연속 하락한 것은 2005∼2006년 이후 처음이다.

광역시 중에선 울산의 하락세가 가장 두드러졌다. 울산은 전세와 월세가 각각 2.3%, 2.1%씩 떨어지며 전체 집세가 2.2% 하락했다. 2000년(2.9%) 이후 19년 만에 최대 낙폭이다. 울산 집세 하락 원인으로는 조선업 둔화에 따른 유입 인구 감소 등이 꼽힌다.

울산 외 부산(-0.5%)와 대전(-0.2%), 대구(-0.1%) 집세도 하락세를 보였다.

광역도 역시 대체로 집세가 하락했다. 경기는 전월세가 모두 하락하며 집세가 0.1% 하락했다. 경기 집세가 하락세를 보인 것은 2005년(-0.6%) 이후 처음이다.

경남도 1.9% 하락했으며 경북과 충남 또한 각 1.3% 집세가 감소했다. 이어 충북(-0.6%), 강원(-0.3%), 제주(-0.2%)가 그 뒤를 이었다.

주요 시도 중 전세값이 상승한 지역은 서울 외 인천·광주·강원·전북·전남이었으며, 전남의 경우 유일하게 월세도 상승했다.

전국 전셋값 하락에 대해선 유입인구 감소 및 최근 몇 년간 이어진 부동산 시장 과열이 원인으로 꼽힌다. 주택가격 상승 기대감에 전세 대신 매매 수요가 늘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지난해 주택 매매량이 큰 폭으로 감소, 부동산 경기 자체가 침체기에 들어갔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와 관련 지난해 연간 주택 매매거래량은 80만5천건으로 2018년 85만6천건 보다 6.0% 감소했다. 5년 평균(101만1000건)과 비교하면 20.4%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매매거래량이 11만8천여건이 거래되며 2018년(5만6천여건) 대비 112.7% 5년 평균(7만9천여건) 대비 49.9% 폭증했으나, 이에 대해서도 분양가 상한제 시행 전 매매수요 폭증이란 의견이 나온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