産銀 회장 유일, 홀대론 재점화

금융권 인사 중 유일하게 제3차 남북정상회담 경제사절단에 포함된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사진=연합>
금융권 인사 중 유일하게 제3차 남북정상회담 경제사절단에 포함된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동행한 제3차 남북정상회담 경제사절단에 금융권 인사로는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한명만 포함됐다. 방북 가능성이 나돌던 주요 공공 금융기관 및 5대 금융그룹 수장 모두 최종 명단에서 제외, 금융 홀대론이 다시금 거론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 정부의 금융 홀대론이 다시금 불거져 나오고 있다. 이날부터 20일까지 평양에서 개최되는 남북정상회담의 특별수행원 명단에 4대 그룹 수뇌부를 비롯한 경제계 주요 인사가 다수 포함됐음에도 금융권에서는 이동걸 회장만 참석한 탓이다.

앞서 금융권에서는 남북관계 해빙 무드를 맞아 시중은행 중심으로 대북사업에 대한 관심을 크게 높여가고 있었다. 민족사적 관점에서 상징성이 클 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금 후 기대되는 북한 지역 SOC(사회간접자본) 개발 호재를 노린 것으로 풀이됐다.

또한 금융권에서는 남북경제협력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 금융지원은 필수라는 점에서 볼 때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 시 정부의 적극적인 동행 요청이 있을 것이라 전망해 왔다.

금융지주 차원에서 대북사업을 적극 타진해 온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과 윤종규 KB금융 회장, 최근 남북연락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한 손태승 우리은행장의 방북 가능성이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 경제사절단에 이름을 올린 이는 국책은행 수장인 이 회장뿐이었고 이에 금융권에서는 그 이유를 두고 여러 추측들이 들려오고 있다.

우선 현 정부 임기 초 불거진 금융 홀대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다.

문 대통령 취임 후 첫 해외 순방이었던 미국 국빈 방문 당시 금융권에서는 사절단에 아무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이에 ‘금융을 적폐로 보는 현 정부의 부정적 인식이 이 같은 결과를 초래한 것 아니냐는 말’ 등이 나돈 바 있는데, 이번 역시 그와 비슷한 이유로 금융권이 사절단에서 대거 배제된 것 아니냐는 추측이다.

이번 정상회담 목적과 남북경협의 진행상태를 고려할 때, 금융권 인사 동행이 불필요 했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의 말처럼 평양 정상회담의 경우 북미 관계 개선이 가장 큰 목적”이라며 “대북제재가 아직 유효한 상황에서 남북경협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 또한 힘들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경협이 활성화된다 해도 금융은 산업을 지원하는 입장이기에 차후 논의가 이뤄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 덧붙였다.

일각에선 대통령 경제사절단의 실효성 때문에 금융권 인사들 스스로 방북을 거절한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지난해 말부터 올 중순까지 진행된 문 대통령의 중국 및 동남아 순방 당시 금융권에서는 ‘성과 없는 형식적인 동행’이란 비난이 제기된 바 있다. 현지 사업 진행에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인허가 문제 등은 해결되지 않고 대통령의 들러리만 서다 왔다는 지적이다.

이에 이번 방북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판단한 금융권 인사들이 스스로 정부의 동행 요청에 미지근한 반응을 보였던 것 아니냐는 것이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