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칠 거 없다는 ‘신한·농협’, 고칠 수 없다는 ‘KB·KEB하나’

▲ 금융권 공동채용박람회를 찾은 입사 지원자들.<사진=연합>
▲ 금융권 공동채용박람회를 찾은 입사 지원자들.<사진=연합>

[현대경제신문 김영 기자] 채용비리 파문 관련 입장이 서로 다른 시중은행들이 대응방식 면에서는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논란에서 한 발 물러서 있는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은 기존 채용시스템에 문제가 없어 채용방식의 큰 틀은 유지한다는 입장이며, 의혹의 중심에 있는 은행들의 경우 대대적인 시스템 변경 의사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시중은행 채용관리 시스템에 있어 당분간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 조사를 통해 시중은행 채용 특혜 의심 사례가 다수 확인됐으나, 은행들이 관련 혐의를 전면 부인하며 채용시스템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개선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는 탓이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불거진 우리은행 채용비리 파문 관련 여타 은행들에 대해서도 채용시스템 조사를 진행했고, KB국민은행과 KEB하나은행 등 시중은행 2곳과 BNK부산은행·DGB대구은행·JB광주은행 등 지방은행 3곳의 특혜채용 의심 사례를 확인했다.

채용비리 의혹이 불거지고 한달여가 지난 현재 은행권에서는 금수저·특혜 논란이 불거진 현재의 채용관리 시스템에 대해 큰 틀의 변화는 없을 전망이다.

특혜 채용 파문에서 한 발 물러난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은 블라인드 방식과 업무 적합성 등에 기반을 둔 기존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별다른 특혜 채용이 적발되지 않았기에 이를 굳이 손 볼 필요도 없다는 입장이다.

신한은행은 과거 채용관리 시스템을 전면 개편한 바 있고, 현재도 매년 지속적인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며 향후로도 이 같은 방식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지방조합 중심으로 운영되다 보니 채용에 있어 상대적으로 외압 가능성이 크다 지적 받아 온 농협은행의 경우 최원병 전 농협중앙회장 조카의 채용 면접 탈락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는 등 클린채용이 이뤄지고 있어 채용시스템 또한 현행 체제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채용비리 논란이 불거진 KB국민은행과 KEB하나은행 또한 빠른 시일내 채용시스템 변경은 없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한 은행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 채용관리에 변화를 줄 경우 오히려 혐의를 인정하는 모양새가 될 수 있어 더더욱 제도 개선에 나설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채용시스템 변화를 검토 중이나 현재까지 이렇다 할 방향성이 나온건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은행권 채용비리 발원지인 우리은행은 지난해 말 이미 대대적인 인사시스템 혁신 작업에 착수했다. 채용업무 자체를 외부기관에 위탁키로 했으며, 임직원 승진 평가 또한 외부 전문가 도움을 받기로 했다. 아울러 채용비리 혐의 관련자에 한해서는 직무배제 원칙을 고수 중이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