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희용 내외정책홍보원 원장.
권희용 내외정책홍보원 원장.

소위 혁명은 혼돈을 수반하기 마련이다. 오리무중이라고 할 정도로 사회분위기가 어수선해지는 속에서 혁명이라는 기폭제를 통해 새로운 질서가 태동한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만 헤아려보아도 그렇다.

혁명전후의 시기가 어수선하기 짝이 없었다. 군부가 정계를 장악했던 무렵에도 사회적 혼란상은 극에 치닫고 있었다. 문화적 발전단계에서도 새로운 움직임은 질서의 혼란와중에 태동하기 시작한다. 근대와 현대가 교차하는 기원도 다르지 않다.

인류가 구가해온 산업경제의 변혁도 시기마다 혼란을 수반했다. 1차 산업혁명이라고 일컫는 1784년 영국에서 비롯된 증기기관발명과 기계화는 기존의 산업생산기반을 뿌리부터 흔들어 놓았다.

사람의 손에 의해 재화가 만들어지던 시스템이 기계의 등장으로 엄청난 볼륨이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말 그대로 혁명이 된 것이다. 이어 1870년 전기를 이용한 대량생산은 또 다른 시대를 여는 2차 산업혁명이었다. 3차 산업혁명은 오늘날 인류가 누리는 인터넷에 의한 컴퓨터정보화 및 자동화생산시스템이 주도하고 있다.

이에 한발 더 나아간 4차 산업혁명시기에 이르렀다. AI(인공지능)이나 로봇을 통해 실제와 가상이 통합된 생산체제가 그것이다. 즉 사물을 자동적으로 혹은 지능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상 물리시스템구축이 산업현장에서 적용되는 시대가 되었다는 의미이다.

우리나라는 디지털시대를 선두서 구가하는 국가 가운데 하나다. 당연히 4차 산업혁명의 종주국가라는 선망의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인공지능을 선두에서 도입하고 적용하기에 좋은 기반시설이 구축되어있다고 손꼽히고 있다.

과연 그럴까? 의문을 던지는 전문가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수년 내에 운전기사가 필요 없는 자동차시대가 온다고 한다. 집안일 정도는 로봇이 하는 시대도 코앞에 왔다고 한다. 버튼하나로 일상적인 일은 거뜬하게 할 수 있는 이른바 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한다는 것이다.

이를 의심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면서도 이에 걸맞은 사회인문적 장치 혹은 법적장치마련에는 소홀하기 짝이 없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그것이 한국사회에 사는 국민의 현주소라는 데에 이견이 없다. 누군가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은 제도적 법적장치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국회의원이나 위정자들의 몫이다. 그러나 국민들은 이들에게 국해(國害)의원이라는 별칭을 붙이고 있다. 어쩌다 이 지경에 이르렀는지는 돌아보면 알 터이다. 파당을 지어 나라의 안위와는 상관없는 행위를 일삼는 이들에게 국민은 그렇게 규정하고 있다.

이 지구상에 한반도만큼 혼돈와중에 놓여있는 곳도 없어 보인다. 남과 북이 그렇다. 철부지 김정은에 의해 세계의 골칫덩이로 전락한 북한이 무슨 짓을 저지를지 불안하기 짝이 없다.

남쪽도 못지않게 걱정에 휩싸여있다. 새로운 산업혁명이라는 신세계가 펼쳐지는 시점에 이르렀건만 이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제시해야할 위정자들이 한눈을 팔고 있어서다.

차기에 한자리 하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한 둘이 아니다. 그러면서 이구동성으로 4차 산업혁명을 제대로 준비하겠다고 나댄다. 실업자를 대폭 줄이고, 인프라를 제대로 구축해서 차세대 복지국가건설에 매진하겠다고 열변을 토한다.

그런데도 기막힌 사실은 이를 믿는 국민이 드물다는 것이다. 자리차지하기 위한 공염불이라는 것이다. 처다 보지도, 거들 떠 보지도 않는다. 한두 번 속아본 게 아니란다. 대한국민의 실상이 바로 이렇다.

그들에게서 느끼는 민생의 온도가 그렇고, 국민의 믿음지수가 이 정도라는 걸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현대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